큰 명절이나 제사를 지내기 위해서는 상차림을 해야 합니다. 보통 큰 명절 등에는 차례상이라고 하고 제사를 위해서는 제사상이라고 하는데 차리는 방식이 같기 때문에 차례상 차리는 방법으로 알아 보았습니다. 전통식으로 차례상(제사상) 차리는 방법은 복잡하고 어렵지만 지금의 시대에 맞게 간소화된 차례상 차리는 방법에서 지방쓰는 법까지 차례상 차리는 방법의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목 차
1. 차례상(제사상) 준비
차례나 제사는 농사가 주였던 조상님들에게는 절기마다 챙기는 중요한 의례였습니다. 지금의 사회는 농사가 주가 아니지만 하늘과 조상님들에게 감사를 표하는 마음을 이어서 가장 큰 명절인 설과 추석 그리고 조상님들의 기일에 차례나 제사를 지내고 있습니다.
음식이 귀했던 옛날에는 차례나 제사 음식이 귀한 음식이었지만 지금은 평소에는 잘 먹지 않는 음식이라 낭비되는 것을 막기 위해 차례상 차리는 방법이 많이 간소화되어 실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글에서는 성균관에서 제시한 간소화된 차례상 차림표를 기준으로 일반적인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더 간소화된 차례상 차리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적인 차례상 차리는 방법
일반적인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총 5열로 진열합니다. 1열은 위패와 지방이 놓여 지고 가운데 주식을 놓아 차림을 하고 2열은 주요리부로 구이로 된 육류와 어류를 진열합니다. 3열은 부요리를 놓는 곳으로 탕요리 3가지를 준비하고 4열은 밑반찬, 5열은 후식 개념으로 과일, 과자 등을 올려 차례상 차리는 방법을 마무리 합니다.
※ 상차림은 바라보는 방향에서 왼쪽이 서쪽, 오른쪽이 동쪽이고 바라보는 위치에서 먼자리 부터 1열, 가까운 곳이 5열입니다.
ㆍ1열: 술잔, 주식(떡국, 탕, 밥 등) , 술잔, 수저(시접), 신위(위패나 지방 혹은 사진) 등을 놓습니다.
ㆍ2열: 전, 육적, 생선 등이 올라가는데 육류는 서쪽(바라보고 왼쪽)에 생선은 동쪽(오른쪽)에 놓고 생선머리는 동쪽을 향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습니다.
ㆍ3열: 탕, 육류 탕은 서쪽(왼쪽), 소탕인 두부탕은 중앙에, 생선이 들어간 어탕은 동쪽(오른쪽)에 둡니다.
ㆍ4열: 서쪽(왼쪽)에 대구포를 놓고 동쪽(오른쪽)에는 식혜를 차린 다음 중앙의 왼쪽부터 삼색나물, 물김치, 생채 등을 진열합니다.
ㆍ5열: 서쪽(왼쪽)에 대추, 밤, 감 (조율이시)을 순서대로 놓고 배와 사과(홍동백서)를 놓는데 흰과일은 서쪽에 붉은 과일은 동쪽에 둡니다. 그 외 조상님이 생전에 좋아하셨던 음식을 올려도 괜찮습니다.
상 앞에는 작은 상을 펴서 향을 피울 그릇을 올리고 술병과 잔 그리고 옆에 차례를 지낼때 잔에 받은 술을 따를 주합을 놓아 둡니다. 주합은 큰 대접이면 되고 향이 없는 경우는 향을 피우지 않고 차례를 지내면 됩니다.
간소화된 차례상 차리는 방법
성균관에서 제시한 간소화된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일반적인 차례상 차리는 방법보다 더 간단한 차례상 차리는 방법으로 기본 형식만 갖추고 정성과 마음으로 올리는 차례상 차리는 방법입니다.
간소화된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총 3열로 구성되고 1열에는 떡국, 또는 송편, 밥, 국 등 주식 한가지만 놓으면 됩니다. 2열에는 반찬이 되는 나물, 고기구이, 김치만 올리고 3열에는 준비할 수 있는 대추, 밤, 곶감과 과일을 올리는데 대추, 밤, 곶감은 하나만 올려도 되고 준비 되는 대로 놓고 과일도 준비되는 대로만 올리고 붉은 과일이 있을 경우 동쪽에 두는 정도만 맞춰서 올리면 됩니다.
ㆍ1열: 잔, 수저, 주식
ㆍ2열: 나물, 구이, 김치
ㆍ3열: 대추, 밤, 곶감, 과일 (구해지는 것만 올림)
2. 지방쓰는 법
지방은 차례상이나 제사상을 차릴 때 위패가 없을 때 대신 사용하는 용도입니다. 지방에는 차례나 제사를 지내는 제주와 조상님과의 관계 그리고 살아있으실 때 조상님의 벼슬이나 하던 일 등이 적히게 됩니다.
지방쓰는 규격
예전에는 지방을 한지에 많이 썼지만 지금은 깨끗한 흰종이에 쓰면 됩니다. 지방의 규격은 가로 6cm, 세로 22cm 정도이지만 사이즈가 똑같지 않아도 비슷한 비율의 크기에 쓰면 됩니다.
지방을 쓸 때 위치
지방을 쓸 때는 한 장에 남자조상님, 여자조상님 두 분을 다 쓰는 경우와 한 분만 쓰는 상황이 있습니다. 한 장에 두 분을 다 쓰는 경우는 모두 돌아가셨을 때입니다. 두 분을 다쓸 때는 왼쪽에 남자, 오른쪽에 여자 분의 지방을 쓰면 됩니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한 분만 적게 되고 중앙에 적으면 됩니다.
지방의 내용
지방은 한자로 많이 썼지만 지금은 한글로 써도 괜찮습니다. '현고학생부군신위'가 가장 기본이 되는 지방의 내용입니다. 이는 바로 윗 대인 아버지께서 돌아가신 다음 쓰는 지방입니다. '현'는 고인을 모신다는 존경을 뜻하고 '고'는 아버지를 의미하며 제사를 지내는 중심인 제주와의 관계를 말합니다. '현고'는 존경하는 아버지를 모시고 '현조고'는 존경하는 할아버지를 모시고 라는 뜻입니다.
'학생부군'은 조상님의 벼슬이나 살아 생전에 했던 일을 적는 곳인데 벼슬을 하신 경우에는 벼슬 이름을 쓰고 대부분은 그냥 '학생부군'이라고 적습니다. 마지막에 '신위'는 고인의 자리라는 뜻입니다. 여자 조상님의 지방은 '현비유인김해김씨신위'로 '현'은 고인을 존경함을 표시하고 '비' 는 제주와의 관계, 여자는 벼슬과 상관없이 '유인'으로 통일되게 적고 '김해김씨'라고 본관을 표시한 뒤 마지막으로 '신위'를 적으면 됩니다.
관계별로 쓰는 지방
지방은 제주를 중심으로 쓰는 것이고 각각 한글로 적어도 괜찮기 때문에 관계별로 적는 지방을 보고 그대로 적되 여자조상님의 성씨본관만 바꿔서 적어줍니다. 만약 본관을 모르면 그냥 '김씨'라고만 적어도 됩니다.
3. 글의 마무리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간소화된 차례상 차리는 방법 그리고 지방쓰는 방법까지 알아 보았습니다. 여러 이유로 제사를 지내지 않는 집이라도 큰 명절인 설날과 추석에는 차례를 지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럴 때 예전과 똑같은 형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간소화된 형식이라도 그 의미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겠습니다.